3양병과 3음병의 허, 실증에 따른 대표적인 방제 - 3음병

*** 음증은 열이 작은 것을 말한다. 위 사진은 참고를 위한 것일 뿐, 음증은 열의 부재가 아니다.

: ‘현대의학에서 체온은 근육(3/4), (1/4)에서 만드는데 이 중에 20%는 에너지로, 80%는 체온유지에 사용한다.

: ‘한방에서 오장육부 중 심장이 그 기능을 한다고 믿는다. 때문에 음증은 심장의 힘이 약한 것으로 생각하고, 이 기능이 약하면 위장(소화력 감소), 방광(빈뇨) 등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했다. 심장의 힘은 부자, 건강, 인삼으로 열을 올려주어야 회복할 수 있다고 본다.

 

1) 태음병

1. 허증

: ‘복부에 열이 모자라서 나타나는 제 증상으로 배가 자주 아프며 차갑고 혈색도 좋지 않다.

: 만성인 경우가 많다.

: 열이 모자라서 힘이 떨어지고, 방광에 힘도 떨어져서 소변의 횟수가 늘어나는 빈뇨의 증상이 있다. 이는 방광염과는 다른 증상이다.

 

: 주로 작약, 교이가 들어간 방제를 쓴다. 이는 힘을 올리고, 열도 올려준다.

 

(1) 당귀작약산

: 빈혈이며, 배가 차갑고 자주 아픈 경우에 사용한다.

: 복부에 습()정도의 수독이 있는 것이 건중제와의 차이점이다.

: 생리통, 불임증 등에도 많이 사용된다.

 

cf) 생리통에 자주 사용되는 진경제와 비슷하게 기능하는 작약이 당귀작약산에는 고함량으로 들어있다.

 

cf) 교이는 포함되지 않는데, 대신에 창출, 복령, 택사 등 물 빼는 약재가 포함되어 있다. 반하사심탕과 비슷하여 합방하기 좋다.

 

(2) 소건중탕

: 용도는 당귀작약산과 거의 같으나 복부 내에 수독이 없는 점이 다르다.

: 교이가 포함되어 있다.

 

cf) 8, 남자아이, 130cm, 20kg / 밥을 너무 안먹는 식욕부진상태, 변을 보면 딱 그만큼만 먹음

: 시강계 + 귀기건중 + 육미지황(진액보충) 20일 복용시켰는데, 먹는건 잘먹지만 먹으면 토한다.

: 숙변이 가득해서 그렇다. 대박승은 음양허실 안 따지고 사용이 가능하다.

 

cf) 배아플 때 허한 경우는 건중제, 실한 경우 빼주는 약을 사용한다.

 

2. 실증

: 복부에 독성물질이 있으나, 차가운 뱃 속이라 장의 연동운동이 저하되어 배출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한다.

: 주로 부자, 대황제를 사용한다.

 

(1) 대황부자탕

: 부자와 세신으로 따뜻하게 하여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대황으로 배출을 돕는다.

: 본방의 과립제가 없는 경우, 이 원리를 이용하여 계지가작약탕 + 이중탕 + 소승기탕을 사용하기도 한다.

 

2) 소음병

: 근골격계, 피부에 열이 부족하여 힘이없고, 체온이 떨어지는 경우

 

1. 허증

: 전신적으로 기운이 없고 추위에 약하며 그저 따뜻한 곳에서 눕기를 즐기는 영양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사용한다.

: 주로 건강, 부자제를 사용하고 계지를 추가하기도 한다.

 

(1) 이중탕

: 일명 인삼탕이며, 소화력이 약해서 늘 기운 없어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 소화력이 부족한 이유는 심장의 힘이 약해 위장까지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cf) 이중탕은 위장 기능을 올려주고, 건중제는 소장 기능을 올려준다.

 

cf) 오래 안 낫는 알러지, 비염 + 감염성질환

: 건중제로 강하게 하면 해결할 수 있다. 몸이 스스로 강해야 이겨낸다.

: 소화기를 살려주면 체력도 올라간다. 그래서 소화가 잘 되는지 물어봐야 한다. 항생제만 먹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 몸이 강해야 항생제도 효과를 받을 수 있다.

 

(2) 영강출감탕

: 방광의 힘이 약하여 소변을 너무 자주 보는 증상에 응용하는데, 방광염과는 구별해야 한다.

: 영강출감탕() + 당귀작약산() + 이중탕()을 이용하면 음허증을 가진 빈뇨환자에게 좋다. 이런 경우 만성이니까 최소 보름단위는 먹어야 한다.

 

(3) 계지가출부탕

: 사지관절과 근육에 영양이 결핍되고, 그 곳에 수독인 습()이 침투하여 괴로운 증상에 응용된다.

: 추울 때마다 감기 + 통증을 수반하고, 진통제도 잘 안 듣는 사람에게 좋다.

: 이런 증상에는 부자가 대량 함유된 부자탕, 진무탕 등이 필요하지만 과립제로는 생산되지 않는다.

: 계지가부자탕은 없지만, 계지가출부탕이면 충분하다.

 

cf) 계지가출부탕 + 당귀작약산(창출, 복령) + 이중탕(건강, 감초)

: 이 안에 부자탕, 진무탕, 영강출감탕 모두 포함된다.

: 감기를 달고 사는 허증의 노령 여성, 찬바람 맞으면 관절이 아픈 환자에게 효과가 좋다.

 

(4) 팔미지황탕

: 허리아래가 힘이 약하고, 전체적으로도 영양이 결핍되었으나 소화기에는 문제가 없고 육체노동이 많은 사람들에게 좋다. ex) 농부, 공사장노동자

: 부자와 계지가 없는 육미지황탕은 양허증에 알맞다. ex) 운동선수

 

cf) 노인은 음증이 많으므로 팔미지황탕, 젊은이는 양증이 많으므로 육미지황탕을 쓴다.

 

2. 실증

: 전신에 기운이 없고 추위를 잘 타지만 영양상태는 좋은 편으로, 흔히 덩치 값도 못한다는 사람에게 사용된다.

: 예를 들자면 물만 먹어도 살찌는 사람, 젊을 때는 체력이 좋던 사람, 생리로 인한 출혈 때문에 열을 잃은 사람.

 

: 주로 마황, 부자제를 이용한다. 마황은 표증에 사용되는데, 표에 있는 기름기를 빼주고, 부자로 열을 넣어준다. 부자는 머리아픈 사람, 식욕부진, 불면증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1) 마황부자세신탕

: 실증인 사람의 감기증상이나, 추위에 너무 민감하고 운동을 싫어하며 항상 피곤해 하는 증상 등에 활용한다.

 

(2) 방기황기탕

: 수분대사 이상으로 체중이 증가되고 추위에 민감하면서, 땀을 많이 흘리고(안흘릴 수도 있음) 항상 피곤해 하는 사람에게 응용된다.

: 표쪽으로 물이 낀사람인데, 비유하자면 젖은 옷을 입고 추운데 들어간 느낌이다.

: 겉으로 보기엔 풍만한 체격이지만 피부 탕력이 없어서, 만져보면 바람 빠진 풍선 같은 느낌이다.

: 이 방제는 냉증, 대하증에 좋고, 날궂이 하는 사람들에게도 효과가 좋다.(흐리고 습하면 힘든 사람들)

 

3) 궐음병

: 상열하한을 나타내며, 그 기준은 배꼽을 기준으로 한다.

: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 중요하므로, 부자 같은 약재는 쓰지 않는다.

 

1. 허증

: 3음증병 중 유일하게 상반신에 열이 많아서 소양병의 허증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cf) 상반신엔 열이 많아 잔머리는 좋지만, 화도 많다.

: 영양 흡수기관인 장이 얼음처럼 차가운 탓인지 실증처럼 보여도, 수독 정체로 부어서 그렇게 보일 뿐, 허증이 대부분이다.

 

: 주로 오수유, 당귀제를 이용한다.

cf) 오수유는 위에 샇인 것을 아래로 끌어내리는 역할을 한다. 두통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1) 온경탕

: 이 약이 필요한 환자는 상반신에는 열이 있으나 하반신은 한냉해서인지, 영양도 부족하여 피부 등이 건조하고, 생리도 불순하며, 비정기적인 출혈 등을 나타낸다.

: 중년 부인들이 생리량이 너무 과다해서 빈혈을 나타낼 때도 효과적이다.

 

cf) 흔히 말하는 쇼그렌증후군도 건조증이라 할 수 있다.

 

(2)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 혈액순환이 좋질 않아서 손발이 차갑고, 복부도 오래전부터 차가운 증상에 응용된다.

: 온경탕의 적용환자와는 달리 수독이 있다.

: 날궂이를 하는 환자가 여기에 포함된다.

: 방기황기탕이랑 합방도 괜찮은데, 부자는 궐음병에 사용하면 안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2. 실증

: 허증과 마찬가지지만 겉으로 보기엔 영양상태가 좋아 보인다.

 

: 주로 오수유, 황련제를 쓴다.

 

(1) 오수유탕

: 흉중이나 위장에는 수독이 잘 고이는데, 이곳에 수독이 고이면 머리가 아프고, 토를 한다. 여기 있는 수독이 과로나 감정의 변화로 머리에 상충(上衝)되어 나타나는 제 증상에 응용한다.

: 이 경우 진통제로도 잘 해결되지 않는다.

 

(2) 황금황련인삼건강탕

: 재료 4개가 동일 함량으로 들어간다.

: 처방 구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열(上熱)하한(下寒)이 동격(同格)일 때 사용되나, 과립제로는 생산되지 않는다. 주된 용도로는 하루에 대여섯 번씩 하는 궐음병 설사증에 쓰인다.

cf) 황련, 황금 + 대황 = 삼황사심탕

: 음양허실에 관계 없이 사용이 가능하지만, 음증에는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 고방의 음양허실론

생명체 (생명
+
몸체)
생명(; ) 양증() 태양병 허증 계지제
실증 마황제
반표반리 소양병 허증 사심제
실증 시호제
양명병 허증 석고제
실증 승기제
음증() 태음병 허증 교이, 건중제
실증 대황, 부자제
소음병 허증 계지, 부자제
실증 마황, 부자제
반표반리 궐음병 허증 오수유, 자윤제
실증 오수유, 사하제
몸체
(; , 진액 포함)
허증 (진액 부족) 허증 자윤제, 지황, 맥문동, 교이, 당귀 등
실증 (진액 과다) 실증 사하제, 대황, 마황, 도인, 망초 등
* 수독 치료제는 음양허실 상관없이 사용가능 (복령, 창출, 택사, 반하, 율무 등)